본문 바로가기

Major

제5회 정림학생건축대상 - 세계화 하는 한국성 건축을 위하여 제5회 정림학생건축상 공모전에 꿈을 가진 여러 건축학도들의 많은 참여와 관심 바랍니다. 건축은 문화이고, 문화는 역사와 현재 그리고 물리적 현실과 정신적 조건의 결합체이다. 이러한 문화 속에 있는 우리 건축은 그 건축이 들어선 우리 땅의 성격과 생활의 진정한 이해, 즉 한국성의 탐구에서 출발해야 할 것이지만, 이와같은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하지 않고 표면적, 감각적, 시각적인 관심으로만 계획되었을 때 그 건축은 바탕이 없고, 깊은 교감없는 하나의 기념품이나 상품으로 전략해 버릴 수 있다. 21세기,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이한 현재, 우리는 왜 다시 한국성을 고민해야 하는것인가? 20세기의 모더니즘(Modernism)건축의 영향과 그로부터 전개되어 온 서양의 건축경향들은 우리에게도 이미 보편 타당한 건축 어.. 더보기
유니버셜 디자인이란? 지금껏 유니버셜디자인에 대한 정의를 잘못 알고 있다가. 얼마전 후배이자 선배인 박모양의 정정으로 유니버셜 디자인에 대해 다시금 알게 되었다. 이에 정확한 개념과 정의를 기록해 본다. 1. 유니버셜 디자인의 개념 유니버셜 디자인은 `평생 디자인` 이라고도 부르는 디자인계의 최신 주제입니다. 장애인, 노인, 어린이 등 약자가 사용할 수 있는 환경과 상품 창조를 만드는 디자인을 말하고, 신체적인 약함뿐 아니라 상황이나 나이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특정 부분의 불리한 점을 보완하는 것이 `유니버셜 디자인`입니다. `더 편하게, 더 안전하게, 더 풍요롭게`를 외치는 소비자 중심의 생활 디자인이 지금 세계 디자이너가 추구하는 디자인의 중심입니다. 2. 유니버셜 디자인의 배경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노령인구와 장애인구.. 더보기
충청남도 공공디자인 공모전 Chungnam Public Design Competition First Prize 충남도 답답한게 부산에 내려던거 여기에 시간남아 냈는데 뽑아줬다 그것도 대상으로 기분이 좋으면서도 졸라 찝찝하다. 개인적으로 유니버셜디자인이란 개 시발 야부리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런식의 상은 좋아하지 않는다. 유니버셜 디자인 같은 소리한다. 그냥 여기저기 다 팔아먹고 싶으니까 그딴 소리 하는거지 더보기
Sound Walk Busan Public Design Competition Honorable mention 디벨롭 필요 작 더보기
Eco-Urban Filter Won Cultural Asociation Competition Second Prize 한강과의 어울림 한강과의 어울림은 쉽지가 않다. 과거 사람들이 생각하던, 수영하고 빨래하던 한강은 이제 그곳에 없다. 지금의 한강은 깊고 무시무시한 속도로 흘러내려가는 거대한 강일 뿐이다. 사람들이 한강에 더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서는 거대한 한강과 어울리는 위상을 취하거나 혹은 한강의 일부를 느끼는 방법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시민공원은 한강과 어울릴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을 취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강변을 따라 구성된 시민 공원은 시각적으로 한강에 대응할만큼 거대한 시각적인 위상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직접적인 행위를 취하기에 적당한 구획별 위상을 가지고 있다. 이번 사이트는 그 크기는 비록 구획별.. 더보기
Project 4 SITE : 시청 용 도 : 미술관 더보기
AIA 2009 Ideas Competition "The invisibility of our modernist tradition to the general consciousness puts an entire and vital period of our heritage at risk," wrote Arleyn Levee, one of those who tried to save the house, in an e-mail. "We need to find some way to highlight this current disaster and turn it around into a positive learning case study." The AIA Committee on Design (COD) invites architects, students, and alli.. 더보기
Shinkenchiku Residential Design Competition 2008 Four Square House Design Problem: Homage to John Hejduk John Hejduk introduced us to the Nine Square Grid design problem and we, his audience, enjoyed and learned from his variations on the theme. I would like to make this proposal honouring his memory. I will call it the Four Square House design problem. In a hypothetical Garden City grid of 36m by 36m, the assignment is to design four houses i.. 더보기
Agora-Unveiling Place (submited Remian Design Fair) 커뮤니티의 재생 커뮤니티의 손실이야 말로 주거 환경에 있어서의 가장 큰 아쉬움이 아닐까 싶다. 사람들은 더이상 주거를 삶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주거지란 이미 잠을 자는 곳의 의미가 되어가고 삶의 터전 이 아닌 재산의 일종이 되어간다. 사람들은 더이상의 커뮤니티를 주거에 기대하지도 않고 또 만들려하지 않는다. 정보화 사회는 이런 현상을 더욱 가속화 시킨다. 잘 모르는 사람들 끼리 공유점을 만들어 가며 친목을 도모 하던 기존의 커뮤니티는 주거지의 그것보다 공유점을 찾기 쉽고, 그렇기에 더욱 어울리기 쉬워진 온/오프라인 커뮤니티에 사람들이 다가가기 시작하면서 만들어 졌다. 이러한 커뮤니티의 장점은 모두다 알고 있기에 그 설명을 차치하더라도, 문제점은 어떠할까. 보다 활발해진 참여의 모습 뒤에 보다 많이 소외.. 더보기
공간 국제 건축 공모전 주제 Where, how do you live? 프로그램 New dwellings in a changing society 20세기가 산업혁명의 결과가 여러 분야에서 구체화된 변화의 시기였다면 21세기는 또 다른 변화를 목격하고 있다. 세계화에 따른 거대 자본의 움직임과 계층의 복잡화로부터 새로운 기술에 따른 삶의 변화까지 그 복잡성은 열거하기조차 어렵다. 하지만 아직은 대부분이 19세기에서 20세기에 걸쳐 만들어진 주거와 그 삶의 방식에 맞춰 살고 있고 그 구조에 익숙하다. 물리적으로 견고하고 사회적으로 고집스러운 체계로 이루어진 주거는 사람들에게 그에 맞춰 살도록 요구하며 아직도 그 지배력을 잃지 않고 있다. 기능에 따른 거실, 주방 그리고 방이라는 실의 분화는 거의 전 세계적인 현상이고, 각각 배타적.. 더보기